반응형
Preface
며칠 동안 if문과 while문 그리고 for문까지 총 3가지의 제어문을 공부했다.
if문과 while문은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었는데, 오늘 배운 for문은 생각보다 꽤 복잡했다.
기존의 계획은 제어문 공부를 마친 후 바로 연습문제를 풀어보는 것이었지만, 밤낮이 바뀌어 머리가 몽롱한 탓인지 오늘따라 집중이 되지 않아 지금 상태에서의 공부는 별 의미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날 천천히 복습하며 제어문을 완벽히 이해한 후 연습문제를 풀어 볼 계획이다.
1. for문
test_list = ['one', 'two', 'three']
for a in test_list:
print(a)
print('\n')
marks = [90, 25, 67, 45, 80]
number = 0
for mark in marks:
number += 1
if mark >= 60:
print(f'{number}번 학생은 합격입니다.')
else:
print(f'{number}번 학생은 불합격입니다.')
print('\n')
marks = [90, 25, 67, 45, 80]
number = 0
for mark in marks:
number += 1
if mark < 60:
continue # continue 나오면 print문은 공백 없이 작성
print(f'{number}번 학생 축하합니다. 합격입니다.')
print('\n')
a = range(10)
print(a)
b = range(1, 11) # 끝 숫자는 미포함
print(b, '\n')
add = 0
for i in range(1, 11):
add = add + i
print(add, '\n') # 1부터 11까지의 합 출력
marks = [90, 25, 67, 45, 80]
for num in range(len(marks)):
if marks[num] < 60:
continue
print(f'{num+1}번 학생 축하합니다. 합격입니다.')
print('\n')
# 구구단 코드
for m in range(2, 10):
for d in range(1, 10):
print(m*d, end=' ') # 다음 줄로 넘기지 않고 계속 출력하게 해줌
print(" ") # 두 번째 for문이 끝나면 줄 바꿈을 시켜줌
print('\n')
a = [1, 2, 3, 4]
result = []
for num in a:
result.append(num*3)
print(result, '\n')
# 리스트 내포
a = [1, 2, 3, 4]
result = [num*3 for num in a]
print(result, '\n')
# [표현식 for 항목 in 반복가능객체 if 조건문]
a = [1, 2, 3, 4]
result = [num*3 for num in a if num % 2 == 0]
print(result)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