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점프 투 파이썬

리스트 자료형, 리스트 함수

by k-mozzi 2021. 8. 10.
반응형
Preface

 

코드를 한 두개 씩 작성하여 결과를 확인할 땐 몰랐는데, 여러 코드를 한번에 출력하니 해당 출력값이 어떤 코드의 결과인지 알아보기 힘든 것 같다.

 

앞으론 print 함수 안에 해당 출력값이 어떤 코드의 결과물인지를 표시하는 문자열을 포함하여 코드를 작성할 계획이다.


1. 리스트 자료형

 

a = [1, 2, 3, ['a', 'b', 'c']]
print(a[3][0],'\n') # 리스트 안에 있는 리스트의 0번째 문자 출력

b = [1, 2, 3, 4, 5]
print(b[0:2])
print(b[1:4])
print(b[ :2])
print(b[ :5])
print(b[2: ])
print(b[4: ],'\n')

c = [1, 2, 3, 4]
d = [5, 6, 7, 8]
print(c + d,'\n')

# str 함수 : 정수 및 실수를 문자열의 형태로 만들어주는 함수
print(str(c[2]) + 'hi','\n')

c[2] = 5 # 리스트 c의 2번째 값 수정
print(c[2])

del c[1] # 리스트 c의 1번째 값 삭제
print(c)
del c[ :2]
print(c)

 


 

2. 리스트 함수

 

a = [1, 2, 3] # 리스트에 요소 추가
a.append(4)
print(a,'\n')

b = [2,1,4,3] # 리스트 정렬
b.sort()
print(b,'\n')

c = ['c', 'a', 'b']
c.sort()
print(c,'\n')

d = [1, 2, 3] # 리스트 뒤집기
d.reverse()
print(d,'\n')

e = ['a', 'b', 'c'] # 위치 반환
print(e.index('b'),'\n')

f = [2, 3, 4] # n번째 위치에 문자 삽입
f.insert(0, 1)
print(f,'\n')

g = [1, 2, 3, 1, 2, 3] # 리스트에서 첫번째로 나오는 x 삭제
g.remove(3)
print(g,'\n')
# del 함수는 리스트의 특정 위치에 나오는 값 삭제


h = [1, 2, 3] # 리스트의 n번째 위치 값을 반환한 후 해당 값 삭제
print(h.pop())
print(h)
print(h.pop(1))
print(h,'\n')

i = [1,2,3,1,1,2,3] # x의 개수 세기
print(i.count(1))
728x90
반응형

'Python > 점프 투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문  (0) 2021.08.16
자료형 연습문제  (0) 2021.08.13
집합 자료형, 불 자료형, 변수  (0) 2021.08.12
튜플 자료형, 딕셔너리 자료형, 딕셔너리 함수  (1) 2021.08.11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 함수  (0) 2021.08.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