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생활코딩

이스케이프 코드, PyPi, 함수 만들기

by k-mozzi 2021. 8. 8.
반응형

1. 이스케이프 코드

 

print('Hi\n')
print('Bye\n')

print(r'Hi\n')
print('Bye\n')

print('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n')
print('안녕하세요,\n' + '반갑습니다.')
print('\n')
print('안녕하세요, '
      '반갑습니다.')

 

\n을 이용하여 줄을 바꾸는 코드를 작성해봤다.

또 따옴표 앞에 'r'을 넣으면 \n이 줄바꿈 기호가 아닌, 특수 문자로 출력되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전 포스팅까진 줄을 바꾸는 방법을 몰라 출력 결과를 알아보기 힘들었는데, 이제 내가 원하는 형태의 출력물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n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t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 문자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작은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큰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2. PyPi

 

import pandas
house = pandas.read_csv('house.csv')
print(house)
print(house.head(10))
print(house.describe())

 

pypi를 이용해서 다른 개발자가 만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아직 어떤 소프트웨어들을 사용할 수 있는지 잘 모르지만, 시간이 지나면 필요한 기능들을 적시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3. 함수 만들기

 

def add(a, b):
    return a+b

print(add(2, 5),'\n')
print(add(4, 9))

 

def를 이용해 간단한 덧셈을 수행하는 함수를 만들어봤다.

728x90
반응형

'Python > 생활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 디버깅, 입력과 출력  (1) 2021.08.07
리스트, 문자, 숫자형 데이터 타입  (4) 2021.08.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