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생활코딩

리스트, 문자, 숫자형 데이터 타입

by k-mozzi 2021. 8. 6.
반응형

1. 리스트 데이터 타입

 

students = ["경모", "용현", "동원"]
grades = [1, 2, 4]

print(students [1])
print(len(students))
print(min(grades))
print(max(grades))
print(sum(grades))

import statistics
print(statistics.mean(grades))

import random
print(random.choice(students))

 

생활코딩 강의를 보며 파이썬과 Visual Studio Code를 설치한 후 처음 작성해 본 코드이다.

 

대학교 1학년 때 필수 교양으로 자바를 한 학기 동안 배운 적이 있는데, 파이썬은 코드를 작성한 후 실행시키기까지의 과정이 자바보다 훨씬 쉽고 간단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아, 그리고 cmd를 통해 코드를 실행시킬 땐 문제가 없었는데, Visual Studio Code에서 파일을 열어 코드를 실행시킬 땐아무런 내용도 출력되지 않아 애를 먹었다.

 

나는 코드를 작성한 후 무작정 터미널을 통해 실행만 시켰지만, 알고 보니 작성한 코드를 저장한 후 실행시켜야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방식이었다.

 


 

2. 문자 데이터 타입

 

print('''Hello
world''')

print('''
Hello
world
''')

print("'1'+'1'", '1'+'1')
print('Hello world '*100)
print(len('Hello world'*100))
print('Hello world'.replace('world', 'universe'))

grades = [1, 2, 3]
import statistics
print(statistics.mean(grades))
# statistics는 import를 통해 선언해야 사용 가능한데, replace는 그렇지 않은 이유는?
# 모듈, 변수, 함수의 차이점?

 

위 코드의 주석에 써놓았듯, statistics는 import를 통해 선언해야 사용 가능한데, replace는 그렇지 않은 이유와 모듈, 변수, 함수의 차이점을 정확히 모르겠다.

 

※ 단어 정의

1) 모듈 : 함수나 변수 또는 클래스를 모아놓은 파일

→ 왜 특정 함수만 import를 통해 호출하는가?

2) 함수 :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를 모아 이름을 붙인 것

3) 변수 : 어떤 값에 이름을 붙여준 것

 


 

3. 숫자형 데이터 타입

 

# int = 정수
print(-1)
print(0)
print(1)

# float = 실수
print(1.1)
print((2.3),'\n')

print('1+1', 1+1)
print('2-1', 2-1)
print('2*2', 2*2)
print('2**4', 2**4)
print('4/2', 4/2)
print('5%2', 5%2) # 나머지 반환
print(('5//2', 5//2),'\n') # 몫 반환

a = divmod(5, 2)
print(a,'\n') # 나머지와 몫 반환

import math # 수학 관련 연산 모듈
print('math.sqrt(4)', math.sqrt(4)) # 제곱근
print('math.pow(4,2)', math.pow(4,2),'\n') # 제곱

import random
print('random.random()', random.random())

 

코드를 실행할 때 출력된 값들 사이에 공백을 두고 싶은데, 이럴 땐 어떻게 해야되는지 궁금하다.

728x90
반응형

'Python > 생활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케이프 코드, PyPi, 함수 만들기  (0) 2021.08.08
변수, 디버깅, 입력과 출력  (1) 2021.08.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