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한 권으로 시작하는 소프트웨어

정보 표현 방법

by k-mozzi 2021. 5. 9.
반응형

컴퓨터 상에서의 이미지, 소리, 동영상 표현 방법을 학습했다.

각각의 파일명을 익히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 이미지 표현 방법

① 비트맵 파일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파일 형식으로 가장 단순한 구조이며 비압축 상태로 이미지를 저장한다.

→ 장점 : 원본 그대로의 우수한 화질

→ 단점 : 압축을 사용하지 않아 이미지 크기가 큼

② GIF 파일 : 256색까지 저장 가능한 비손실 압축 형식의 이미지 파일 포맷이다.

→ 장점 : 하나의 파일에 여러 개의 비트맵을 적용하여 다중 프레임의 애니메이션 구현 가능

→ 단점 : 색 표현에 한계가 있음

③ JPEG 파일 : 이미지 전문가들의 위원회에서 개발한 손실 압축 방식의 이미지 파일 포맷이다.

→ 단점 : 압축률을 높이면 이미지 훼손 발생

④ PNG 파일(핑) : GIF와 JPEG의 장점을 합쳐서 개발한 이미지 파일 포맷이다.

→ 장점 : 비손실 압축 방식 적용, 보다 좋은 화질

→ 단점 : 애니메이션 지원 불가, 큰 용량

 

- BMP = Bit Map Pile

- 파일 확장자 : 파일명의 점 뒤에 나타나는 알파벳 문자열 / ex) myfile.gif

- 픽셀(화소) : 이미지 파일을 가장 작은 단위로 쪼갠 단위 (픽셀이 클수록 화질이 좋아짐)

- 비트맵 상 16비트는 '하이컬러', 24비트는 'RGB(Red, Green, Blue)', 32비트는 '트루컬러'라고 함

- RGB의 색상은 각각 8비트(0~255)를 이용하며 검은색은 RGB 값이 각각 0, 흰색은 RGB 값이 각각 255임

- 트루컬러의 경우 24비트는 RGB를, 나머지 8비트는 투명도 값을 반영

- 아날로그 형태의 소리를 디지털 자료로 변환하기 위해선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과정을 거쳐야 함

- 비트 형태로 저장된 소리 자료가 사용자에게 재생될 때는 DAC(Digital Analog Converter)를 통해 다시 아날로그 파형으로 변환됨 → 사운드 카드에 의하여 처리

-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 전자 악기와 컴퓨터 간의 정보교환을 위한 규약에 따른 방식

- 동영상(영상 + 소리)과 GIF의 애니메이션은 다른 것

- 동영상 파일은 주로 AVI, MPEG 형식이 사용됨

- 파일의 압축과 복원은 코덱(CODEC)이 담당

- 서로 다른 코덱은 호환 불가

 

 

 

 

 

참고 문헌 : 한옥영, 한 권으로 시작하는 소프트웨어(사람의 무늬), 2019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