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한 권으로 시작하는 소프트웨어

컴퓨터 상에서의 문자 표현 방법

by k-mozzi 2021. 5. 9.
반응형

컴퓨터 상에서의 문자 표현 방법을 공부했는데 부동소수점의 계산 방법의 개념이 확실히 이해되지 않는다.

빠르고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정수와 실수 표현 관련 개념과 절댓값 표기 개념을 심도있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해보인다.

- 영어 : ASCⅡ 코드(8비트) 체계 사용

- 한글 : 유니코드(16비트) 체계 사용

- 유니코드 체계 상에선 65,536자를 표현할 수 있는데, 한글은 11,172자만을 사용하며

세계 모든 나라 문자 코드를 사용할 수 있음

- 정수는 32비트를 사용하여 표현

① 부호 비트 방식 : 0은 양수를, 1은 음수를 나타냄 (값이 중의성을 띄어 사용하지 않음)

② 1의 보수 방식 : 0은 1로, 1은 0으로 바꾸는 비트 변환 방식 (값이 중의성을 띄어 사용하지 않음)

③ 2의 보수 방식 1의 보수를 구한 뒤 맨 오른쪽 비트 자리에 1을 더하는 방식 (보편적 사용)

- 실수 표현 방법

① 고정 소수점 방식 : 부호 비트(1비트) + 정수부(15비트) + 소수부(16비트)

② 부동 소수점 방식 : 지수 형식을 사용해 4바이트나 8바이트로 표현

⑴ 3.2 x 10의 -3승에서 가수는 3.2, 밑수는 10, 지수는 -3

⑵ IEEE(아이 트리플 이)의 규격에 따라 표현

⑶ IEEE 754 : 부호 비트(1비트) + 지수부(8비트) + 가수부(23비트)

⑷ '아닐 부'자가 아닌 '떠다닐 부'를 사용

※ 10진수를 2진수로 나타내는 법 연습 필요

 

 

 

 

 

참고 문헌 : 한옥영, 한 권으로 시작하는 소프트웨어(사람의 무늬), 2019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