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ace
일정 계획 수립과 관련된 내용을 공부하던 도중 한 가지 의문점이 생겼다.
'일정 계획을 세울 때 대부분 의존 관계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해당 책에선 프로세스의 유연한 흐름을 위해 의존 관계를 사용한다고 서술하고 있지만, 내 생각은 조금 다르다.
각각의 프로세스가 의존 관계를 유지한 상태로 흘러간다면 오류 수정에 있어 오히려 불편할 뿐더러 단위 테스트 등 해당 프로세스만을 검사하기 어렵지 않을까?
하루 빨리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며 이러한 의문점들에 대한 해답을 직접 찾고 싶다.
- 프로젝트 범위 관리 :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의 경계 설정
- 원가 산정 : 프로젝트 전체 비용을 예상
- 일정 관리 : 프로젝트 전체 일정 개발
1. 프로젝트 범위 관리
- 제품 범위 : 제품과 서비스 및 프로젝트 결과물이 가지는 특징 및 기능
→ 제공해야 할 기능과 하지 않아도 되는 기능을 분리
- 프로젝트 범위 : 특정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수행해야 할 작업들까지 포괄
→ 작업들을 기능 중심으로 분할
- 프로젝트 범위 관리 : 계획 단계에서 프로젝트에 포함할 사항과 제외할 사항을 정의 및 통제
→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개발
- 프로젝트 범위 관리 하위 프로세스
1) 요구사항 수집 :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정의 및 문서화
2) 범위 정의 : 프로젝트의 범위 기술
3) 작업 분류체계(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작성
① WBS : 목표 달성을 위해 수행해야 할 작업을 산출물 중심으로 작성한 계층도
② WBS 사전
4) 범위 검증 : 산출물에 대하여 이해관계자가 검토
5) 범위 통제 : 기준선 문서의 변경 발생 시 범위 상태 감시 및 변경 통제
- 작업 패키지 : WBS의 최하위 단위
1) 한 사람 또는 한 팀으로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의 단위
2) 수행 작업 : 산출물
- 작업 패키지 원칙
1) 범위, 일정, 원가 추정이 가능한 정도까지 분할
2) 성과, 진척사항, 완료를 현실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측정 기준 필요
3) 산출물이 식별되어야 함
4) 담당자를 명확히 지정
2. 프로젝트 원가 관리
-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의 대부분은 인건비(노무비)이다.
→ 원가 추정 = 노무비 추정
- 공수 : 작업에 필요한 인원 수를 노동일 또는 노동 시간으로 나타낸 수치
1) 투입되는 인원 수와 작업 기간에 기초하여 인원-월(Man-Month) 단위로 표현
2) 공수 추정(공수 견적)은 계획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3) 프로젝트 실패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행
- 공수 추정 방법
1) 하향식 = 유사 산정 = 전문가 판단 : 프로그램의 규모를 기준으로 소요 비용 산출
① 일반화가 용이함
② 정확한 규모 추정이 어려움
2) 상향식 : 프로세스 모델에 기초하여 각 단계별 소요 비용을 산출
① 추정의 정확도 향상
②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지만 신뢰도가 높음
- COCOMO(COnstructive COst MOdel) :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을 위해 사용하는 LOC(Line Of Code)를 기반으로 한 하향식 방법
- 기능 점수 모델 :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능의 개수를 기준으로 기능 점수에 기초하여 공수 측정
3. 프로젝트 일정 관리
- 프로젝트 일정 관리 프로세스
1. 활동 정의 : 프로젝트 인도물을 만들기 위해 수행해야 할 활동들을 식별
2. 활동 순서 배열
1) 후행 작업 : 다른 작업에 의존하는 작업
2) 선행 작업 : 후행 작업이 의존하는 작업
3) 의존 관계 사용
- 일정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1) 노드(node) : 식별된 항목 → 직사각형 마디로 표시
2) 화살표(arc)
3. 활동 자원 추정 : 대부분 자원은 인적자원
4. 활동 기간 추정 : 일정 개발 도구 사용
1)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e)
2) 주경로 기법 : CPM(Critical Path Method)
① 빠른 시작일(ES)
② 빠른 종료일(EF)
③ 늦은 시작일(LS)
④ 늦은 종료일(LF)
※ 대부분 프로젝트에서 두 기법을 통합하여 사용
5. 일정 개발
1) 경로 :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내부 프로젝트의 시작과 끝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활동들의 흐름
2) 주(임계)경로 : 수행 기간이 가장 긴 경로
3) 주(임계)활동 : 여유 시간(float)이 0인 활동
6. 일정 통제 : 앞의 5가지 프로세스와 달리, 계획 단계가 아닌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수행
- 선행 다이어그램(PDM : Precedence Diagramming Method) : 활동들 간 의존 관계 표시
1) 종료 후 시작(FS) → 기본 유형
2) 종료 후 종료(FF)
3) 시작 후 시작(SS)
4) 시작 후 종료(SF)
- 프로젝트 수행 기간 단축 방법
1) 스케줄 최적화 : 유연성을 갖추어 스케줄 진행
2) 크래싱(crashing) : 작업에 추가적인 자원 투자
- 간트 도표 = 막대그래프 차트
참고 문헌 : 윤청, 『소프트웨어 공학 에센셜』(생능출판), 2019, p.552~578.
'CS > 소프트웨어 공학 에센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공학 용어 정리 (0) | 2021.07.04 |
---|---|
소프트웨어 검증 및 확인 (0) | 2021.07.03 |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 (0) | 2021.07.01 |
품질 관리와 프로세스 개선 (0) | 2021.06.28 |
유지보수 (0) | 2021.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