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Mac STS Spring MVC Project 생성 오류

by k-mozzi 2023. 9. 6.
반응형
Preface

 

실습을 위해 STS 4를 설치했지만, 프로젝트 생성란에 Spring MVC Project가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구글링을 하던 도중 Eclipse Marketplace에서 STS 3 Add-On을 설치하는 방법을 찾아 따라해봤지만, 설치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그래서 애초에 STS 4를 제거하고 STS 3 버전을 다운로드받는 방법을 선택했다.


 

1. STS 3 다운로드: https://github.com/spring-attic/toolsuite-distribution/wiki/Spring-Tool-Suite-3

 

Spring Tool Suite 3

the distribution build for the Spring Tool Suite and the Groovy/Grails Tool Suite - spring-attic/toolsuite-distribution

github.com

→ STS 버전, Eclipse 버전을 선택한 후 본인 OS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된다. (나는 Mac이라 dmg 파일을 설치했다.)

 

 

 

2. 다운로드받은 파일을 클릭한 후 Applications 폴더에 STS를 포함한 2개 파일을 넣는다.

 

 

 

3. 자신이 사용할 폴더를 생성한 후 STS를 포함한 2개의 파일을 넣고 해당 폴더에 있는 STS를 실행한다.

 

 

 

4. File - New - Spring Legacy Project를 선택한 후 Spring MVC Project를 생성한다.

 


 

※ 'Failed to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 오류 발생 시 아래 과정을 따른다.

 

1.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

nano /[STS를 넣은 폴더 경로]/STS.app/Contents/Eclipse/STS.ini

혹은

vi ~/[STS를 넣은 폴더 경로]/STS.app/Contents/Eclipse/STS.ini

 

 

 

2. 출력된 파일 내용 중 최상단에 있는 -startup 윗줄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

-vm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jdk 버전]/Contents/Home/bin/java

 

→ 자신의 jdk 버전은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jdk1.8.0_202.jdk"와 같이 .jdk로 끝나는 버전을 위의 [jdk 버전]에 입력한다.

/usr/libexec/java_home -V

 

 

 

3. 이후 자신이 만든 폴더에서 STS를 실행한다.

 

 

 

참고: https://velog.io/@hyojhand/STS-Mac-STS3-%EC%84%A4%EC%B9%98-%EB%B0%8F-%EC%98%A4%EB%A5%98%ED%95%B4%EA%B2%B0Failed-to-create-the-Java-Virtual-Machine

 

[STS] Mac STS3 설치 및 오류해결(Failed to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

오늘 다뤄볼 주제는 Mac에서 STS 설치 및 오류시 해결방법입니다! 현재 STS의 최신버전은 STS4이지만, 이전버전인 STS3 을 다운받고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velog.io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