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ace
오늘부터 웹 공부를 시작했다.
책에 30일 코스가 소개되어 있어 이에 맞춰 진도를 나가려고 한다.
다음 장은 '웹 개발 환경 만들기'로 vscode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하는데, 나는 이미 해당 ide를 사용해왔으므로 블로그 글은 생략하겠다.
이번 장에선 웹 개발이란 무엇인지, 프런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요구되는 기술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을 알아봤다.
이미 여러 번 공부하고 언급했던 내용이므로 간략하게 정리만 하고 넘어간다.
1. 웹 개발 알아보기
- 웹 사이트의 종류
1) 정적(static) 사이트
2) 동적(dynamic) 사이트
- 서버(server):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 클라이언트(client):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근하려고 사용하는 전자기기
→ 좁은 의미로 웹 브라우저를 클라이언트라고도 한다.
- 개발 영역
1) 프런트엔드: 웹 브라우저 화면에 보이는 것을 다룸
2)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보이지 않는 것을 다룸
2. 웹 개발,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 웹 개발을 위해 공부해야 할 기술
1) 기본 영역: html, css, 자바스크립트, 깃/깃허브 etc.
2) 프런트엔드 영역: 다양한 라이브러리(제이쿼리, 부트스트랩), 프레임워크(리액트, 앵귤러) etc.
3) 백엔드 영역: 리눅스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 서버 언어와 해당 프레임워크 etc.
- 웹 개발의 기본
1) HTML: 웹 문서의 뼈대를 만든다.
2) CSS: 웹 문서를 꾸미거나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배치한다. (반응형 웹 디자인)
3) 자바스크립트: 동적인 효과를 사용한다.
-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을 만들 때 필요한 여러 기능을 쉽게 구현하도록 도와주는 도구
- 소스 관리
1) 깃(Git): 소스의 수정 내용을 계속 저장하고 관리해주는 도구
2) 깃허브(GitHub): 온라인에서 깃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 서비스
-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자바스크립트만으로 직접 개발하는 것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
1) 라이브러리: 개발 주도권이 개발자에게 있다.
2) 프레임워크: 개발 주도권이 프레임워크에게 있다.
→ 모든 것을 프레임워크에서 정해 놓은 대로 따라야 한다.
'Web Front > HTML + CSS +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입력 양식 작성하기 (1) (0) | 2022.07.17 |
---|---|
[HTML] 웹 문서에 다양한 내용 입력하기 (2) (1) | 2022.07.16 |
[HTML] 웹 문서에 다양한 내용 입력하기 (1) (0) | 2022.07.15 |
[HTML] HTML 기본 문서 만들기 (0) | 2022.07.14 |
HTML + CSS + 자바스크립트 출처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