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B & SQL/데이터베이스 개론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

by k-mozzi 2022. 1. 23.
반응형
Preface

 

주말동안 아무것도 안 하며 쉴 계획이었지만, 하루 푹 쉬었더니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데이터베이스 공부를 시작했다.

 

몇 달 간 코드 실습을 병행하다 오랜만에 텍스트로 된 이론만을 공부하니 평소보다 집중도 잘 되고 재미있었다.

 

오늘 공부한 부분은 앞 부분이라 쉽게 이해하며 넘어갈 수 있었는데, 뒷 부분을 훑어보니 어려워보이는 내용들이 꽤 있는 것 같다.

 

새로운 개념을 배울 생각에 설레고 기대도 되지만, 한 편으론 얼마나 머리를 싸매야 할지 벌써부터 걱정된다.

 

데이터베이스 공부는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한 본격적인 첫 걸음인 것 같은데, 중간에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노력해보자.


 

1.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 데이터(data): 현실 세계에서 단순히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수집한 사실이나 값

→ ex) 원유

 

 

- 정보(information): 데이터를 의사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한 결과물

→ ex) 팩에 담긴 우유

 

 

- 정보 처리: 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방법

 

 

- 정보 시스템: 조직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해두었다가 의사 결정이 필요할 때 처리하여 유용한 정보를 만들어주는 수단

 


 

2.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 데이터베이스(DB):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해서 '저장'한 '운영'데이터의 집합

1) 사용 목적이 다른 사용자들을 두루 고려해야 한다.

2)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통제 가능한 중복만을 허용해야 한다.

3)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매체에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해야 한다.

4)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데이터이다.

 

 

-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1) 실시간 접근이 가능하다.

2) 계속 변화한다.

3) 동시 공유가 가능하다.

4) 내용으로 참조가 가능하다. (저장된 주소나 위치가 아닌 데이터의 내용 및 값으로 참조 가능)

 


 

3.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의 종류


1. 정형 데이터: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저장된(구조화된) 데이터

→ ex) 엑셀의 스프레드시트,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 스키마(schema)의 의미

1)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

2) 내용과 함께 설명된 데이터 구조 (메타 데이터와 같은 의미)

 

 

2. 반정형 데이터: 구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이지만, 데이터 내용 안에 구조에 대한 설명이 함께 존재

→ 구조를 파악하는 파싱(parsing) 과정이 필요하며, 보통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3. 비정형 데이터: 정해진 구조가 없이 저장된 데이터

→ ex) 멀티미디어 데이터(SNS 데이터, 영상, 이미지, 워드 및 PDF 문서 etc.)


 

- XML 데이터베이스: 웹에서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작성된 XML 문서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데이스

 

 

-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문자나 숫자뿐 아니라 이미지, 영상 등이 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728x90
반응형

'DB & SQL > 데이터베이스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 데이터 모델  (0) 2022.02.11
데이터 모델링  (0) 2022.01.3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0) 2022.01.26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0) 2022.01.24
데이터베이스 개론 출처  (0) 2022.01.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