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Network

Home Server

by k-mozzi 2022. 11. 17.
반응형
Preface

 

게시판 프로젝트를 마친 후 웹 서버에 대한 개념을 다시 한 번 정리하기 위해 생활코딩에 있는 WebN 강의를 보기로 결정했다.

 

Web1의 HTML에 관한 내용은 생략하고 네트워크와 관련된 내용들만 정리해서 업로드할 계획이다.

 

사실 몇 달 전 http에 관한 내용이 궁금해 생활코딩에 있는 강의를 보려고 했었는데, 네트워크 관련 지식이 부족해 이해할 수 없어 중간에 포기했었다.

 

이번 기회에 웹서버, 네트워크에 관한 기초 개념을 확실히 익히자.


 

1. How to use the server?

 

 

- 전자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려면 각자의 IP 주소를 가져야 한다.

 

 

- 공유기(router) 구성

1) WAN(Wide Area Network)

→ 케이블을 WAN(광역 네트워크: 인터넷) 포트에 꽂으면 공유기 자체가 IP 주소를 갖게 된다.

2) LAN(Local Area Network) 

→ 전자기기를 LAN과 연결하면 각각의 IP를 부여받는다.

 

 

- 즉, 케이블을 통해 하나의 IP 주소(public IP address)를 공유기에 연결하면 공유기와 각각의 기기는 고유한 IP 주소(private IP address)를 가진다.

1) 공유기의 IP 주소는 gateway address 혹은 router address라고 부른다.

2) 내부 IP 주소(client)에서 정보를 요청하면 gateway address를 거쳐 인터넷에 접속한다.

→ 내부의 정보를 요청한 경우엔 바로 정보를 보낼 수 있지만, 외부 정보를 요청한 경우엔 WAN의 IP 주소를 통해 외부에 정보를 요청한다.

    ① 정보를 요청한 기기의 내부 IP 주소를 공유기에 기록

    ② NAT를 통해 내부 IP 주소를 public IP address로 변경한 후 외부에 정보 요청

    ③ 응답받은 정보를 내부 IP 주소에 전달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 내부(사설) IP를 쓰는 컴퓨터가 외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

 

 

- 인터넷 브라우저 창에 gateway address를 입력하면 공유기 관리자 창에 접속할 수 있다.

 

 

- 포트(port):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적 단위

1) 0~1023번 포트번호: well-known port(예약된 포트)

    ① 22번: SSH(Secure SHell: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

    ② 80번: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통신 규약)

2) 1024~65535번 포트번호: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포트

 

 

- 포트 포워딩(port-forwarding): 라우터로 들어온 포트 번호에 따라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특정 기기의 특정 포트로 요청을 보내는 것

→ NAT의 응용 기술

 

 

-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통신사)

 

 

- IP 주소의 종류

1) dynamic IP address(유동 IP): ip 돌려막기

2) static IP address(고정 IP): 한번 할당되면 변경되지 않는 ip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자동으로 IP를 호스트 하는 IP 주소 및 서브넷 마스크 및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기타 관련된 구성 정보를 제공 하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

1) DHCP server: 공유기에 내장된 프로그램

2) DHCP client: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기에 내장된 프로그램

 

 

- MAC address: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 각 전자기기의 고유 번호

 

 

- TCP, UDP 설명 블로그

 

[TCP/UDP]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

오늘은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쉽게 말해 데이터의

mangkyu.tistory.com

 

 

- 서브네팅, 서브넷 마스크 설명 블로그

 

[Network]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란?

*선행지식 2018/11/10 - [전공지식/Network] - [Network] IP주소란? 2018/11/11 - [전공지식/Network] - [Network] IP주소 클래스(A,B,C class)란? 1) 서브네팅이란? (Subnetting) 서브넷마스크를 알기 위해선 먼저 서브네팅

limkydev.tistory.com

 

 

- NAS(Network Attached Storage): LAN으로 연결하는 외장 하드디스크

 

 

- DAS(Direct Attached Storage): 컴퓨터에 직접 연결해 사용하는 내장 하드디스크

 

 

 

출처: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uHgQVnccGMA52uRBmSwqcvtI5IMoFclJ 

 

WEB2-Home server

 

www.youtube.com

 

728x90
반응형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 방식과 POST 방식  (0) 2023.06.04
동기 방식과 비동기 방식  (0) 2023.06.03
HTTPS, SSL 인증서  (0) 2022.11.20
HTTP  (0) 2022.11.20
DNS  (0) 2022.11.18

댓글